티스토리 뷰

우리나라 전통주, 발효식품 냄새, 한동안 외국인은 우리나라의 전통 식품 중 하나인장과 김치를 썩은신품으로 인식을 하고 팔았지만 지금은 최고의 건강식품, 성인병 예방 기능식품, 다이어트 식품이라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전통주도 예외가 아니라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전통주는 특정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외국인의 선호도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수출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로 곡자향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사실 곡식향이고, 우리말로 효모냄새인데 곰팡이 냄새를 의미하게됩니다. 아무리 취해도 곰팡이 냄새는 누가 좋아할까요.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더욱 안좋게 느껴질 수 잇는데요. 그들의 음주 경향은 우리와 다른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요 평가 기준이 ‘프랜스’를 얹은 ‘술’이기 때문인데요.


반면에, 우리는 모든 음식을 맛으로 먹는 경향이 있습니다. 술도 예외가 아니고, 맛도 최고, 향도 그 뒤를 따르게되는데요. 술맛이 우선이고, 집안 안팎에서 효모와 메주의 발효가 이루어졌고, 나는 효모와 메주의 냄새에 익숙해져있습니다. 그러나 서양인에게 곰팡이의 냄새는 그 자체로 '냄새'일 뿐이며 곰팡이는 음식물의 발효 결과물에 안좋은생각도 가지고 있는데요 . 따라서 한국의 효모가 만든 전통주는 부패하거나 썩은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 따라서 아로마, 부케, 사과, 포도 등 홉으로 길들여진 외국인은 효모 곰팡이 냄새가 나는 우리의 전통주를 사고 마실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따라서 우리 전통주는 문제가 많고에 비위생적이라는 것이라는겁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주곡식은 모두 향일까?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전통 와인은 와인, 포도, 사과, 맥주 홉보다 훨씬 아름답고, 고급 과일, 꽃 향이 나는 서양의 술들이 있습니다. 서양 술에는 고유의 아로마가 들어 있는 반면, 우리의 전통 술은 열매가 아니라 녹말밥과 곰팡이가 핀 효모라고 생각을 하시면되는데요 이 향주는 아로마 술이라 불리며 사과향, 포도향, 딸기향, 복숭아향, 수박향, 고추향, 매실향, 연꽃향 등 다양한 맛을 낼 수가 있다고 합니다

와인은 백설향으로 발효되어 풍성한 향이 나며 고춧가루, 배, 수박, 참외 등의 향이 은은하게 나기도 합니다


다양한 방향으로 전통 술의 소멸의 배경은 끝났다는 사실만으로도 80년간,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하여 고립될 예정인데요. 이 기간 동안 급습 단속이 잦아지면서 술도 생기고 술도 약해져 일본의 조선정책에도 한몫을 했다고 합니다. 특히 "조선주의의 향기는 효모향"이라는 인식이 일본인의 영향을 받아 그 초점은 일본식 사케교육에 있는데요. 그 결과 효모와 코엔자임을 이용한 발효로 발효된 이민 와인이 등장했지만, 섭취 감미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또 첨단 과학과 첨단 양조 기술을 도입하면서 "현대 양조업자들은 아무런 식품첨가물 없이 효모만을 사용하는 전통적이고 깊은 향기와 신비롭고 복잡한 맛에 훨씬 못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양조법이 소홀해지는 이유는 쌀의 세탁, 재료의 다양한 변형, 재료의 혼합법, 발효법과 지속시간 등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과 노화 과정이 길기 때문입니다. 물론 현대에 있어서는 절대적 식량부족으로 인한 애벌레와 혼잡에 대한 금지의 영향이 그리 작지는 않았지만, 문제는 수천 년이라는 세월이 단기간에 무엇인가를 성취하려는 자극과 함께 '편리하고 편안한' 편의주의적 사고방식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뒤따르던 정통 술도 소홀히 했는데요.


그러나 술을 연구할 때는 성분을 가공하고 술을 만드는 법, 특히 술을 과학적이고 현명하게 읽는 법, 술을 만드는 일을 하는 노인들의 태도와 노력을 배우게됩니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어머니와 할머니들은 체계적인 양조 교육이나 이성적인 과학적 음식 처리 방법을 지금과 같이 알지 못했고, 특히 현대 미디어와 인터넷에서는 정보를 얻을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양조 기술을 배우고 있었습니다. 상대방에 비해 퀘스와 기교 찹쌀이나 찹쌀이 아니더라도 보리, 밀, 수수, 수수, 복숭아, 코지로만 만든 술에는 돌, 사과, 수박, 홍, 복숭아, 향이 있는데요. 단맛과 카시아향이 나는 양양주라 집집마다 술을 잘 만드는 여자의 솜씨가 칭찬받았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오늘은 우리나라 전통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댓글